맨위로가기

수영 자유형 100m 대한민국 기록 추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영 자유형 100m 대한민국 기록은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여러 선수들에 의해 경신되어 왔다. 남자 자유형 100m는 김경환, 조오련, 이훈철, 박태환, 황선우 등을 거치며 기록이 향상되었고, 여자 자유형 100m는 임금자, 최연숙, 김진숙, 이보은, 류윤지, 장희진 등에 의해 기록이 단축되었다. 박태환은 200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황선우는 2020년대에 한국 수영의 새로운 역사를 썼다. 이러한 기록 경신은 한국 수영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수영 저변을 확대하는 데 기여했다.

2. 남자 자유형 100m 기록 변천사

남자 자유형 100m 대한민국 기록 변천사
#기록차이선수소속날짜대회명개최지경기장주석 및 기타
1분 3초 5김경환양정고1961. 07. 09군사 혁명 체육 축전 서울종전: 1분 3초 8[1]
1분 3초 3- 0.2초김경환양정고1961. 08. 14제42회 전국 체육 대회 서울서울운동장풀[2]
1분 3초 0- 0.3초김경환양정고1961. 08. 26제33회 전국 남녀 학생 수상 경기 대회 서울서울운동장풀[3]
1분 02초 5-김경환양정고1962. 07. 05수상공인기록획 서울서울운동장풀종전 1분 03초 1[4]
58초 6노창수양정고1971. 06. 19제17회 서울시 남녀 초중고대학별 수영 대회 서울서울운동장 풀남고부 계영 1번 영자.
종전기록 59.8(김봉조 10년 지속)[5]
57초 7- 0.9초조오련1972. 10. 08제53회 전국 체육 대회 서울태릉 국제 수영장일반부 계영 400m 1번 영자.[6]
57초 33- 0.37초이훈철충남고1979. 10. 13제60회 전국 체육 대회 대전남고부 예선[7]
57초 05- 0.28초강창범해군1980. 08. 11제52회 동아 수영 대회 서울서울운동장수영장[8]
56초 80- 0.25초이훈철1980. 10. 08제61회 전국 체육 대회 전주[9]
56초 57- 0.23초이훈철한국체대1981. 05. 06유니버시아드 대비 최종 평가전 서울잠실 실내 수영장[10]
55초 97- 0.60초이훈철상무1981. 07. 17제36회 전국 초중고대학일반 대항 수영 대회 서울서울 운동장 수영장계영 400m 1번 영자[11]
55초 48- 0.49초이훈철한국체대1981. 08. 09제53회 동아 수영 대회 서울서울 운동장 수영장[12]
55초 41- 0.07초김진명한국체대1984. 03. 26제2회 아시아 수영 선수권 대회 참가 선수
최종 평가전
서울잠실 수영장[13]
55초 15- 0.26초이훈철상무1985. 06. 21제5회 아산기 쟁탈 전국 수영 대회 서울[14]
54초 89- 0.26초이훈철상무1985. 06. 23제5회 아산기 쟁탈 전국 수영 대회 서울잠실 수영장계영 400m 1번 영자[15]
54초 69- 0.20초이훈철상무1985. 08. 12제57회 동아 수영 대회 서울동대문 운동장 수영장[16]
54초 42- 0.27초이훈철1985. 10. 11제66회 전국 체육 대회 춘천춘천실내수영장[17]
54초 31- 0.11초이훈철상무1986. 03. 01대표 선수 기록 평가회 서울태릉훈련원수영장[18]
54초 27- 0.04초이훈철상무1986. 04. 18제41회 전국 수영 대회 대구두류 수영장계영 400m 1번 영자[19]
54초 21- 0.06초권상원공주사대1987. 10. 17제68회 전국 체육 대회 목표목포 실내 수영장[20]
54초 18- 0.03초송광선전남체고1988. 05. 14제7회 대통령기 전국 수영 대회 겸
제69회 전국 체육 대회
목표목포 실내 수영장남고부 1위.[21]
54초 17- 0.01초권상원공주사대1988. 05. 15제7회 대통령기 전국 수영 대회 겸
제69회 전국 체육 대회
목표목포 실내 수영장남일반 계영 400m 1번 영자[22]
53초 84- 0.33초권상원금천고1989. 04. 27제44회 전국 수영 대회 대구두류 수영장[23]
53초 62- 0.22초권상원공주사대1989. 09. 27제70회 전국 체육 대회 안양안양시 수영장[24]
53초 52- 0.10초이윤안경남체고1989. 9. 27제70회 전국체육대회 안양안양시 수영장남고계영 400m 1번 영자[24]
53초 41- 0.11초이윤안경남체고1990. 04. 05제45회 전국 수영 대회 대구두류 수영장남고 계영 400m 1번 영자.[25]
53초 38- 0.03초이윤안경남체고1990제11회 아시안 게임 베이징
53초 35- 0.03초이윤안경남체고1990. 10. 17제71회 전국 체육 대회 청주청주 실내 수영장남고 계영 400m 1번 영자[26]
53초 10- 0.25초이윤안경남체고1991. 06. 21제19회 해군참모총장배 전국 수영 대회 서울올림픽 공원 실내수영장[27]
52초 67- 0.43초이윤안경남체고1991. 09. 10| 청주 || 청주 실내 수영장 || [28]
52초 51- 0.16초김동현대동고1993. 04. 07제65회 동아 수영 대회 서울올림픽 수영장
52초 43- 0.08초우원기한국체대1994. 06. 3094 아시안 게임 수영 국가 대표 선발전 서울한국체육대학교 수영장
52초 19- 1.09초우원기경북대1994. 08. 25MBC배 수영 대회 서울올림픽 수영장[29]
52초 16- 0.03초고윤호강원체고1996. 10. 09제77회 전국 체육 대회 춘천춘천종합경기장 수영장
52초 05- 0.11초고윤호경남체고1997. 03. 11제52회 회장배 전국 수영 대회 부산사직 실내 수영장
51초 84- 0.21초고윤호강원대1997. 04. 11제17회 아산기 수영 대회 서울올림픽 수영장[30]
51초 50- 0.34초김민석동아대2000. 02. 20대표 선발전 대전대전 수영장
51초 14- 0.36초김민석동아대2000. 03. 31아시아 수영 선수권 대회 부산사직 실내 수영장1위[31]
50초 49- 0.65초김민석동아대2000. 09. 19제27회 하계 올림픽 시드니예선 24위. 아시아 신기록
50초 39- 0.10초박태환경기고2006. 06. 19국가대표 공인기록회 울산문수 실내 수영장
50초 02- 0.37초박태환경기고2006. 12. 06제15회 아시안 게임 도하2위
49초 32- 0.70초박태환경기고2007. 10. 13제88회 전국 체육 대회 광주염주 수영장1위
48초 94- 0.38초박태환2008. 10. 15제89회 전국 체육 대회 목포목포 실내 수영장
48초 70- 0.24초박태환대한민국 대표2010. 11. 17제16회 아시안 게임 광저우아오티 수영장1위
48초 42- 0.28초박태환2014. 02. 28뉴사우스웨일스 주 오픈 선수권 대회 시드니시드니 올림픽 공원 수영 센터3위[32]
47초 56- 0.86초황선우2021. 07. 282020 도쿄올림픽' 남자 100m 자유형 준결승


2. 1. 초기 기록 (1960년대)

1960년대 초반, 김경환은 양정고등학교 소속으로 출전한 여러 대회에서 연이어 한국 신기록을 경신하며 남자 자유형 100m의 기반을 다졌다.[1][2][3][4] 1961년 7월 9일 군사 혁명 체육 축전에서 1분 3초 5로 종전 기록(1분 3초 8)을 경신한 것을 시작으로,[1] 같은 해 8월 14일 제42회 전국 체육 대회에서는 1분 3초 3,[2] 8월 26일 제33회 전국 남녀 학생 수상 경기 대회에서는 1분 3초 0을 기록하며 단기간에 0.8초를 단축했다.[3] 1962년 7월 5일 수상공인기록획에서는 1분 02초 5를 기록, 종전 기록 1분 03초 1을 넘어섰다.[4]

이후 1971년 노창수가 58초 6을 기록하며 김봉조가 10년간 보유하던 종전 기록(59.8)을 경신했고[5], 1972년에는 조오련이 57초 7을 기록하며 다시 한번 한국 기록을 단축했다.[6]

2. 2. 발전기 (1970년대 ~ 1990년대)

1970년대 조오련은 '아시아의 물개'라는 별명에 걸맞게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6] 1972년 조오련은 57초 7의 기록을 세웠다.[6] 1980년대 이훈철은 꾸준한 기록 단축을 통해 대한민국 수영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1979년 이훈철은 57초 33을 기록했다.[7] 1980년에는 56초 80,[9] 1981년에는 55초 97,[11] 55초 48을 차례로 기록했다.[12] 1985년에는 54초 42,[17] 1986년에는 54초 27을 기록하며 꾸준히 기록을 단축했다.[19]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는 권상원이윤안이 경쟁하며 기록을 단축해 나갔다. 1987년 권상원은 54초 21을 기록했고,[20] 1989년에는 53초 84를 기록했다.[23] 이윤안은 1989년 53초 52를 기록한 데 이어,[24] 1990년에는 53초 35,[26] 1991년에는 52초 67을 기록하며 권상원의 기록을 넘어섰다.[28]

2. 3. 황금기 (2000년대 ~ 현재)

2000년대 초반 김민석은 꾸준히 기록을 단축하며 한국 수영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김민석은 2000년 2월 대표 선발전에서 51초 50을 기록한 데 이어, 3월 아시아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51초 14로 1위를 차지했다.[31] 2000년 제27회 하계 올림픽 예선에서는 50초 49를 기록하며 아시아 신기록을 경신했다.[31]

200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박태환은 압도적인 기량으로 한국 신기록을 연이어 경신하며 세계적인 선수로 발돋움했다. 박태환은 2006년 6월 국가대표 공인기록회에서 50초 39를 기록한 것을 시작으로, 2006년 제15회 아시안 게임에서 50초 02로 2위를 차지했다.[32] 2007년 제88회 전국 체육 대회에서 49초 32, 2008년 제89회 전국 체육 대회에서 48초 94를 기록하며 꾸준히 자신의 기록을 단축했다. 2010년 제16회 아시안 게임에서는 48초 70으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2014년 뉴사우스웨일스 주 오픈 선수권 대회에서 48초 42를 기록하며 한국 신기록을 다시 한번 경신했다.[32]

2020년대에는 황선우가 박태환의 뒤를 이어 한국 남자 수영의 새로운 에이스로 떠올랐다. 황선우는 2021년 7월 28일 2020 도쿄올림픽 남자 100m 자유형 준결승에서 47초 56의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며 세계를 놀라게 했다.

3. 여자 자유형 100m 기록 변천사

1960년대 대한민국 여자 수영 자유형 100m의 초기 기록은 임금자에 의해 세워졌다.[33] 임금자는 1966년 6월 18일 제12회 서울시 남녀 초중고대학별 대항 수영 경기 대회에서 1분 11초 6의 기록으로 한국 여자 수영의 발판을 마련했다.[33] 이후 김정희가 1971년 6월 제17회 서울시 남녀 초중고대학별 수영 대회에서 1분 09초 8을 기록했다.[34]

1970년대 초, 최연숙은 꾸준한 기록 단축을 보였다. 1975년 4월 30일 제6회 아시아에이지그룹수영선수권대회 5차 기록평가회에서 1분 07초 8,[35] 1975년 7월 3일 제7회 해군 참모 총장배 쟁탈 전국 수영 대회에서 1분 07초 2,[36] 1976년 7월 17일 제31회 전국 남녀 초중고대학별 수영 대회에서 1분 07초 0,[37] 1976년 8월 6일 제8회 해군 참모 총장배 쟁탈 전국 수영 대회에서 1분 06초 00,[38] 1977년 10월 29일 제22회 전국 남녀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1분 05초 80을 기록했다.[39] 1979년에는 재미교포 김성진이 제34회 전국 종별 수영 대회에서 1분 05초 75를 기록했고,[40] 같은 해 최윤정이 제51회 전국 학생 수영 대회 여중부 예선에서 1분 04초 42로 한국 신기록을 경신했다.[41]

1980년대에는 김선희와 최윤정이 번갈아 가며 기록을 단축했다. 김선희는 1980년 8월 9일 제52회 동아 수영 대회에서 1분 04초 04,[42][43] 1981년 7월 17일 제36회 전국 초중고대학일반 대항 수영 대회에서 1분 03초 95,[44] 1981년 8월 29일 제1회 아산기 쟁탈 수영 대회에서 1분 03초 86을 기록했다.[45] 최윤정은 1981년 10월 12일 제62회 전국 체육 대회에서 1분 03초 68 ,[48] 1982년 4월 13일 상비군선발평가전에서 1분 02초 17,[49] 1982년 7월 3일 제37회 초중고대및일반대항전국수영대회에서 1분 02초 12,[50] 1982년 8월 3일 제54회 동아 수영 대회에서 1분 02초 07,[51] 1982년 9월 17일 제1회 대통령기 쟁탈 전국 수영 대회 여고부 예선에서 1분 01초 92,[52] 1982년 9월 19일 제1회 대통령기 쟁탈 전국 수영 대회 여고부 결선에서 1분 01초 76을 기록했다.[53] 김진숙은 1983년 6월 18일 제3회 아산기쟁탈전국수영대회에서 1분 01초 43,[54] 1983년 7월 14일 해군참모총장배 수영 대회에서 1분 01초 26, 1983년 8월 6일 제55회 동아 수영 대회에서 1분 01초 25,[55] 1983년 9월 4일 제2회 대통령기 시도 대항 수영 대회 (예선)에서 1분 00초 60,[56] 1985년 제66회 전국 체육 대회에서 1분 00초 38,[57] 1986년 3월 1일 대표 선수 기록 평가회에서 59초 48을 기록하며 꾸준히 기록을 단축했다.[58]

1990년대에는 김은정이 1989년 10월 7일 제3회 아시아 에이지 그룹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59초 41,[59] 1990년 4월 5일 제45회 전국 수영 대회에서 59초 04를 기록했고,[60] 이은주가 1991년 9월 12일 제10회 대통령기 전국 수영 대회에서 58초 87,[61] 1994년 3월 9일 제49회 전국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58초 86을 기록했다. 이보은은 1994년 제66회 동아 수영 대회에서 58초 24,[63] 1994년 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파견 수영 국가 대표 선발전에서 58초 08,[64] 1995년 7월 19일 제15회 아산기 전국 수영 대회에서 57초 86,[65] 1996년 4월 13일 제5회 아시아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57초 69를 기록하며 57초대에 진입했다.[65] 1996년 10월 9일 제77회 전국 체육 대회에서는 이보윤이 56초 96을 기록하였다. 이후 조희연이 1998년 7월 8일 제26회 해군참모총장배 수영 대회 에서 56초 71,[66] 1998년 12월 제13회 아시안 게임에서 56초 69를 기록했다.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 선소은이 56초 21로 한국 신기록을 세웠다. 이후 류윤지가 2003년 7월 20일 제10회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55초 71, 2003년 7월 23일 제76회 동아 수영 대회에서 55초 46으로 연이어 한국 신기록을 경신했다. 2009년에는 장희진이 6월 27일 제28회 대통령배 전국 수영 대회에서 55초 27을 기록하며 다시 한번 한국 신기록을 경신했다.

3. 1. 초기 기록 (1960년대)

1960년대 대한민국 여자 수영 자유형 100m의 초기 기록은 임금자에 의해 세워졌다.[33] 임금자는 1966년 6월 18일 제12회 서울시 남녀 초중고대학별 대항 수영 경기 대회에서 1분 11초 6의 기록으로 한국 여자 수영의 발판을 마련했다.[33] 이후 김정희가 1971년 6월 제17회 서울시 남녀 초중고대학별 수영 대회에서 1분 9초 8을 기록했다.[34]

3. 2. 발전기 (1970년대 ~ 1990년대)

1970년대 초, 임금자가 1966년 제12회 서울시 남녀 초중고대학별 대항 수영 경기 대회에서 1분 11초 6으로 한국 신기록을 세웠다.[33] 이후 김정희가 1971년 1분 09초 8로 기록을 단축했다.[34] 최연숙은 1975년부터 1977년까지 꾸준히 기록을 단축하며 1977년 10월 제22회 전국 남녀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1분 05초 80을 기록했다.[39] 1979년에는 재미교포 김성진이 1분 05초 75를 기록했고,[40] 같은 해 최윤정이 1분 04초 42로 한국 신기록을 경신했다.[41]

1980년대에는 김선희와 최윤정이 번갈아 가며 기록을 단축했다. 김선희는 1980년 1분 04초 04,[42][43] 1981년 1분 03초 95,[45] 1분 03초 86을 기록했다.[46] 최윤정은 1982년 4월 상비군선발평가전에서 1분 02초 17,[49] 1982년 9월 제1회 대통령기 쟁탈 전국 수영 대회에서 1분 01초 76을 기록했다.[53] 김진숙은 1983년 6월 제3회 아산기쟁탈전국수영대회에서 1분 01초 43,[54] 1983년 9월 제2회 대통령기 시도 대항 수영 대회에서 1분 00초 60,[56] 1985년 제66회 전국 체육 대회에서 1분 00초 38,[57] 1986년 3월 대표 선수 기록 평가회에서 59초 48을 기록하며 꾸준히 기록을 단축했다.[58]

1990년대에는 김은정이 1989년 59초 41,[59] 1990년 59초 04를 기록했고,[60] 이은주가 1991년 58초 87,[61] 1994년 58초 86을 기록했다. 이보은은 1994년 제66회 동아 수영 대회에서 58초 24,[63] 1994년 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파견 수영 국가 대표 선발전에서 58초 08,[64] 1995년 제15회 아산기 전국 수영 대회에서 57초 86,[65], 1996년 4월 제5회 아시아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57초 69를 기록하며 57초대에 진입했다.[65] 1996년 10월 제77회 전국 체육 대회에서는 이보윤이 56초 96을 기록하였다. 이후 조희연이 1998년 56초 69를 기록했다.[66]

3. 3. 현대 (2000년대 ~ 현재)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 선소은이 56초 21로 한국 신기록을 세웠다. 이후 류윤지가 2003년 제10회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55초 71, 제76회 동아 수영 대회에서 55초 46으로 연이어 한국 신기록을 경신했다. 2009년에는 장희진이 제28회 대통령배 전국 수영 대회에서 55초 27을 기록하며 다시 한번 한국 신기록을 갈아치웠다.

4. 주요 선수 및 업적

4. 1. 김경환

김경환은 양정고 소속으로 1960년대 초반 대한민국 남자 수영 자유형 100m 기록을 연이어 경신하며 초기 한국 수영 발전에 기여했다.[1][2][3][4] 1961년 7월 9일 군사 혁명 체육 축전에서 1분 3초 5의 기록으로 종전 기록(1분 3초 8)을 경신했다.[1] 이후 1961년 8월 14일 제42회 전국 체육 대회에서 1분 3초 3,[2] 1961년 8월 26일 제33회 전국 남녀 학생 수상 경기 대회에서 1분 3초 0,[3] 1962년 7월 5일 수상공인기록획에서 1분 02초 5를 기록하며 꾸준히 기록을 단축했다.[4]

4. 2. 조오련

조오련은 1970년대 '아시아의 물개'로 불리며 한국 수영의 위상을 높였다.[6] 1970년 방콕 아시안 게임과 1974년 테헤란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72년 10월 8일 제53회 전국 체육 대회 일반부 계영 400m 1번 영자로 출전하여 57초 7의 대한민국 신기록을 세웠다.[6] 그러나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는 저조한 성적을 기록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4. 3. 이훈철

이훈철은 1980년대 대한민국 남자 자유형 100m 기록을 꾸준히 단축하며 한국 수영의 발전을 이끌었다.[7][9][10][11][12][14][15][16][17][18][19] 1979년 10월 13일 제60회 전국 체육 대회 남자고등부 예선에서 57초 33을 기록하며 종전 기록을 경신했다.[7] 1980년 10월 8일 제61회 전국 체육 대회에서 56초 80,[9] 1981년 5월 6일 유니버시아드 대비 최종 평가전에서 56초 57,[10] 1981년 7월 17일 제36회 전국 초중고대학일반 대항 수영 대회 계영 400m 1번 영자로 나서 55초 97,[11] 1981년 8월 9일 제53회 동아 수영 대회에서 55초 48을 기록하며 한국 신기록을 차례로 경신했다.[12] 이후에도 1985년 6월 21일 제5회 아산기 쟁탈 전국 수영 대회에서 55초 15,[14] 같은 대회 계영 400m 1번 영자로 나서 54초 89를 기록했고,[15] 1985년 8월 12일 제57회 동아 수영 대회에서 54초 69,[16] 1985년 10월 11일 제66회 전국 체육 대회에서 54초 42,[17] 1986년 3월 1일 대표 선수 기록 평가회에서 54초 31,[18] 1986년 4월 18일 제41회 전국 수영 대회 계영 400m 1번 영자로 나서 54초 27을 기록하는 등 꾸준히 기록을 단축했다.[19]

4. 4. 박태환

박태환은 2000년대 대한민국 수영의 황금기를 이끈 선수로, 2008 베이징 올림픽 자유형 400m 금메달, 자유형 200m 은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수영 역사상 최초의 올림픽 메달리스트가 되었다.[32] 자유형 100m에서도 아시아 신기록을 수립하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박태환경기고등학교 재학 중이던 2006년 6월 19일, 국가대표 공인기록회에서 50초 39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김민석의 대한민국 기록을 경신했다.[31] 같은 해 12월 제15회 아시안 게임에서 50초 02로 은메달을 획득했다.[32] 2007년 제88회 전국 체육 대회에서는 49초 32로 한국 신기록을 경신하며 1위를 차지했고, 2008년 제89회 전국 체육 대회에서 48초 94를 기록했다. 2010년 제16회 아시안 게임에서 48초 70으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2014년 뉴사우스웨일스 주 오픈 선수권 대회에서 48초 42로 자신의 최고 기록을 경신하며 3위를 차지했다.[32]

4. 5. 황선우

황선우는 2021년 7월 28일에 열린 2020 도쿄 올림픽 남자 자유형 100m 준결승에서 47초 56을 기록하며 대한민국 신기록을 수립했다.[32]

4. 6. 최연숙

최연숙(근명여고)은 1975년 4월 30일 태릉국제수영장에서 열린 제6회 아시아에이지그룹수영선수권대회 5차 기록 평가회에서 1분 07초 8을 기록하며 한국 여자 수영 자유형 100m 기록을 경신했다.[35] 이후 1975년 7월 3일 서울운동장수영장에서 열린 제7회 해군 참모 총장배 쟁탈 전국 수영 대회에서 1분 07초 2,[36] 1976년 7월 17일 제31회 전국 남녀 초중고대학별 수영 대회에서 1분 07초 0,[37] 1976년 8월 6일 제8회 해군 참모 총장배 쟁탈 전국 수영 대회에서 1분 06초 00,[38] 1977년 10월 29일 동대문 스위밍 센터에서 열린 제22회 전국 남녀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1분 05초 80을 기록하는[39] 등 1970년대에 다수의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며 한국 여자 수영의 발전을 이끌었다.

4. 7. 김진숙

김진숙은 강남여중에 재학 중이던 1983년 6월 18일 제3회 아산기쟁탈전국수영대회에서 1분 01초 43을 기록하며 대한민국 신기록을 수립했다.[54] 이후 같은 해 7월 14일 해군참모총장배 수영 대회에서 1분 01초 26, 8월 6일 제55회 동아 수영 대회에서 1분 01초 25를 기록하며 자신의 기록을 경신했다.[55] 9월 4일 제2회 대통령기 시도 대항 수영 대회 예선에서는 1분 00초 60을 기록하며 다시 한번 대한민국 신기록을 세웠다.[56] 1985년 6월 11일 제66회 전국 체육 대회에서 김진숙은 1분 00초 38로 또 다시 신기록을 수립하였고,[57] 이화여고 재학 중이던 1986년 3월 1일 대표 선수 기록 평가회에서 59초 48을 기록하며 한국 여자 선수로는 처음으로 1분 벽을 깼다.[58] 김진숙은 1980년대 최윤정과 함께 여자 자유형 100m에서 경쟁하며 한국 신기록을 여러 차례 경신했다.

4. 8. 이보은

이보은은 부산사직여고 소속으로 1994년 4월 13일 부산 사직 실내 수영장에서 열린 제66회 동아 수영 대회 예선에서 58초 26을 기록하며 대한민국 여자 선수 최초로 58초대에 진입했다.[62] 같은 날 결선에서는 58초 24를 기록했다.[63] 이후 1994년 6월 29일 서울 한국체육대학교 수영장에서 열린 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파견 수영 국가 대표 선발전에서 58초 08로 자신의 기록을 경신했다.[64] 1995년 7월 19일 부산 사직 실내 수영장에서 열린 제15회 아산기 전국 수영 대회에서 57초 86을 기록, 대한민국 여자 선수 최초로 57초대에 진입했다.[65] 1996년 4월 13일 타이 방콕 후아막 실외풀에서 열린 제5회 아시아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57초 69를 기록했다.

5. 한국 수영에 미친 영향

5. 1. 국제 경쟁력 강화

5. 2. 수영 저변 확대

5. 3. 과제와 전망

참조

[1] 뉴스 四種目에 韓國新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61-07-10
[2] 뉴스 五種目에 韓國新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61-08-15
[3] 뉴스 七種目에 韓國新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1-08-27
[4] 뉴스 水上記錄好調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1-08-27
[5] 뉴스 수영서 한국신 8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1-06-21
[6] 뉴스 한국신 쏟아져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2-10-09
[7] 뉴스 수영서 첫날 한국신 5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9-10-13
[8] 뉴스 신기록 러시, 한국신 18 동아일보 1980-08-12
[9] 뉴스 수영서 이훈철(충남) 한국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0-10-09
[10] 뉴스 이훈철 한국신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1-05-07
[11] 뉴스 접영의 왕자 김금희 자유형서 한국신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1-07-18
[12] 뉴스 이훈철 올 3번째 한국신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1-08-10
[13] 뉴스 신기록의 물보라는 요란하지만....韓國 수영 아직 우물안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4-03-27
[14] 뉴스 수영 한국신 2 동아일보 1985-06-22
[15] 뉴스 한국신 6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5-06-24
[16] 뉴스 이훈철 한국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5-08-13
[17] 뉴스 권순한 배영 200m서 연거푸 한국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5-10-11
[18] 뉴스 수영 한국신 홍수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6-03-01
[19] 뉴스 수영 샘 솟는 한국신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6-04-19
[20] 뉴스 폐막 하루 앞두고 막바지 메달 각축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7-10-17
[21] 뉴스 윤주일 한국신 http://gonews.kinds.[...] 한국일보 1988-05-15
[22] 뉴스 권상원 단거리 최강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신문 1988-05-16
[23] 뉴스 권상원 자유형 100m 한국신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89-04-28
[24] 뉴스 이영숙, 비 내리는 트랙 질주 100m 한국신, 수영도 신기록 봇물 동아일보 1989-09-28
[25] 뉴스 수영 한국신 7개 봇물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0-04-06
[26] 뉴스 수영 이윤안 한국신 단비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신문 1990-10-18
[27] 뉴스 이윤안 한국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1-06-22
[28] 뉴스 이윤안 1백m 한국신 물살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1-09-11
[29] 뉴스 禹원기 한국新 물보라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4-08-26
[30] 뉴스 물개 고윤호 또 한국신 물살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04-12
[31] 뉴스 김민석, 자유형 100m 첫 우승 http://pdf.joinsmsn.[...] 중앙일보 2000-04-01
[32] 웹인용 2014 NSW State Open Championships Results http://liveresults.s[...] 2014-02-28
[33] 뉴스 수영에 한국신 7개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66-06-20
[34] 뉴스 수영서 한국신 8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1-06-21
[35] 뉴스 崔蓮淑, 한국新 둘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75-05-01
[36] 뉴스 '최연숙 자유형 백 한국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5-07-04
[37] 뉴스 '국교 여자 배영서 한국신 추가'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6-07-19
[38] 뉴스 '최연숙, 두 종목서 한국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6-08-07
[39] 뉴스 '최연숙 (자유형 100m) 한국신'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7-10-31
[40] 뉴스 '자유형 100m(여자) 한국신'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79-07-17
[41] 뉴스 첫날부터 한국신 열풍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79-08-03
[42] 뉴스 null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80-08-11
[43] 뉴스 '한국신 8개 쏟아져'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80-08-11
[44] 뉴스 '접영의 왕자 김금희 자유형서 한국신'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1-07-18
[45] 뉴스 '千仁泰, 金善姬 한국新 둘씩' http:http://newslibr[...] 동아일보 1981-08-31
[46] 뉴스 '千仁泰, 金善姬 한국新 둘씩' http:http://newslibr[...] 동아일보 1981-08-31
[47] 뉴스 '첫날 수영서 한국신 3개' 한국일보 1981-10-11
[48] 뉴스 '기록 풍성...3일 동안 한국신 27, 대회신 94개' 경향신문 1981-10-12
[49] 뉴스 '우리는 물개 자매, 최윤정 윤희 시대 활짝 열렸다' 한국일보 1982-04-14
[50] 뉴스 '수영계 신인 부재, 한국신 쏟아져도 걱정은 태산' 동아일보 1982-07-05
[51] 뉴스 '도약 가능성 보인 낙후 수영, 제54회 동아수영 결산' 동아일보 1982-08-04
[52] 뉴스 '최윤정, 윤희 또 한국신' 매일경제신문 1982-09-18
[53] 뉴스 '사흘 동안 한국신 9개' http://dna.naver.com[...] 매일경제신문 1982-09-20
[54] 뉴스 '김진숙 한국신 2개'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83-06-18
[55] 뉴스 '여중생 김진숙 한국신' 동아일보 1983-08-06
[56] 뉴스 '김진숙 1분벽 돌파선' 동아일보 1983-09-05
[57] 뉴스 '권순한 배영 200m서 연거푸 한국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5-10-11
[58] 뉴스 수영 한국신 홍수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6-03-01
[59] 뉴스 한국 종합 2위 차지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9-10-09
[60] 뉴스 수영 한국신 7개 봇물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0-04-06
[61] 뉴스 이으주 자유형 100m 한국신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1-09-13
[62] 뉴스 이보은, 거푸 한국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4-04-14
[63] 뉴스 이보은, 거푸 한국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4-04-14
[64] 뉴스 우원기, 이보은, 정원경 한국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3-06-30
[65] 뉴스 수영 이보은 김방현 한국신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6-04-14
[66] 뉴스 조희연 또 한국신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98-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